사람들은 보통 어릴 때가 가장 행복하고 나이가 들수록 점점 불행해진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특히 노년기가 되면 외로움과 쓸쓸함에 죽음을 기다리게 된다고들 생각하는데요, 하지만 연구 결과는 이와는 다르게 나이가 들면서 오히려 행복감이 커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전 세계적으로 137개국 중 57위로, 그다지 높은 편이 아닙니다. OECD 국가 중에서는 38개국 중 35위에 머무르고 있어요. 경제적으로는 성장을 이뤘지만, 정서적이고 관계적인 부분에서는 소홀히 해온 것이 우리나라 사람들이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큰 이유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수십 년간 우리 사회는 도시화와 산업화, 정보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공동체적인 연결감이 많이 약해졌고, 인간관계가 서열과 효율 중심으로 변해가며 삭막해졌습니다.
핵가족화가 진행된 이후에는 가족 간의 유대마저 약해져 더욱 고립되고 외로움이 커졌죠. 이러한 변화는 다음 세대에까지 대물림되며, 아이들에게도 행복을 강요하면서 오히려 불행감을 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모님들이 아이들에게 "열심히 공부해서 명문대에 가면 너의 인생은 활짝 피고 행복해질 것이다"라는 말을 자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명문대에 들어간 학생들이 느끼는 행복감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명문대에 들어갔을 때의 기쁨은 평균 일주일 정도 지속된다고 해요. 이후에는 새로운 경쟁과 상대적 박탈감으로 인해 다시 이전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는 것이죠.
진정한 행복과 가짜 행복을 구분하는 기준에는 다섯 가지가 있습니다.
1. 조건부 행복: "돈이 많다면", "좋은 직장을 갖는다면"과 같이 조건을 붙여야 행복해진다고 생각하는 것은 가짜 행복입니다.
2. 비교에서 오는 행복: 남들과 비교하여 우월감을 느끼는 행복은 지속될 수 없는 가짜 행복입니다.
3. 찬란하지만 일시적인 행복: 지금은 좋지만, 시간이 지나면 고통이 되거나 후회하게 되는 행복 역시 진정한 행복이 아닙니다.
4. 자기만을 위한 이기적인 행복: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고 자기만을 위한 행복은 진정한 행복이 될 수 없습니다.
5. 행복한 척하는 행복: 행복하지 않으면서도 행복한 척하는 것은 가짜 행복입니다.
사람들은 종종 로또 당첨과 같은 큰 재산을 얻게 되면 평생 행복할 것이라 기대하지만, 실제로 로또 당첨자들의 행복도는 약 1년 후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반면, 큰 사고나 불행을 겪은 사람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행복도가 회복된다고 합니다. 이는 평상시의 행복 설정치가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일상 속에서 작은 행복을 꾸준히 쌓아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죠.
하버드대학교에서 80년간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행복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간관계입니다. 가족, 친구,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안정적이고 친밀할수록 행복도가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심리학에서도 이제는 개인보다는 관계를 중요시하고, 이를 통해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행복한 사람들의 공통점 중 하나는 운동을 꾸준히 한다는 것입니다. 운동을 통해 몸뿐만 아니라 마음의 건강도 지킬 수 있습니다. 또한, 긍정적인 사고방식과 감사하는 마음이 행복을 증진시킵니다. 마지막으로, 자신만을 위한 삶이 아닌 더 큰 존재와 연결된 삶을 사는 사람들이 더 큰 행복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덴마크와 같은 행복지수가 높은 나라에서는 아이들을 많이 놀게 하고, 자연 속에서 활동하게 하며, 조기 교육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느긋한 시간을 가지며, 다른 사람에게 친절을 베푸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러한 문화 속에서 자란 아이들은 성적이나 비교 없이 행복한 삶을 살게 되고, 결국 행복한 어른으로 성장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나이가 들수록 불행해진다는 공식은 성립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노년기에는 인생을 여유롭고 깊이 있게 바라보게 되며, 행복감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일상에서 작은 감사와 행복을 쌓아가는 노력이죠. 결국 행복은 나이나 조건이 아닌, 관계와 일상 속에서 찾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