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사길신 사흉신으로 사람 성격 파악하기

(사주) 사길신 사흉신으로 사람 성격 파악하기

G 앤디 0 3,924 2021.09.11 17:53

사주에는 음양오행이 있고, 각 음양오행이 상대적인 음양오행을 바라볼때 생기는 것이

바로 십성입니다.(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이 십성을 알아야 우주의 변화과정을 알 수 있고 인간의 심리 상태를 알수 있습니다.



사주를 공부하면 좋은 것이 나는 1개의 인생을 살지만,

사주를 통해 1만개 10만개 이상의 인생을 볼수 있다는 겁니다.

사주의 오행은 기본적으로 목화토금수이니 쉽지만 십성은 상호 상대적인 관계이기에

복잡한 관계를 맺게 됩니다. 우선 사주를 통해 사람 심리를 파악하기 전에 기본적인

인간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나를 돕는 사람은 부모가 첫번째요 삼촌과 형제자매가 두번째입니다.

즉, 혈연이 아닌 사람은 나를 돕는다기 보다는 서로 Give & Take 관계라는 겁니다.

Give & Take 관계만도 감사한 겁니다. 나의 것을 빼앗으려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2. 내가 돕는 사람은 자식이 첫번째요 형제자매와 부부가 두번째입니다.

즉, 부모에게는 도움을 받는 것이 정상이고 자식에게 도움을 주는 것이 정상인 것입니다.

이 외의 혈연관계가 아닌 사람들은 서로 돕고 돕는 관계라기 보다는 Give & Take 관계인 겁니다.



3. 이 Give & Take 를 잘하는 사주를 길한 사주로 보고 잘 못하는 사주를 흉한 사주로 봅니다.

사흉신 사주 또는 극신강 극신약 사주가 바로 흉한 사주로써 이를 깨우쳐서,

전생이나 집안에 있던 악업을 비로소 알게 되는 것입니다.(현생은 전생 또는 집안의 업보와 연결됩니다.)



사주의 시작은 정인이며 사주의 결말은 정관입니다. 정인은 내가 태어난 고향이며,

정관은 내가 만들어낸 결과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남자에게 자식이 정관, 여자는 씨가 없으니 남자가 정관이 되는 겁니다.

인성부터 시작되는 인생에 대해서 사길신 사흉신의 심리를 대입하여 간단하게 정리합니다^^

흉신은 대체로 남과의 투쟁을 뜻하고 길신은 대체로 남과의 협력을 뜻합니다.

그렇기에 흉신은 극설하여야 하고, 길신은 상생하여야 사회에서 인정을 받게 됩니다.



1. 편인(흉신) vs 정인(최길신)

편인: 나와 같은 음양이 나를 생하려고 하니 열심히 알려고 하지 않게 됩니다.

내가 알고 싶은 것만 알려고 하기에, 편재로 제화시켜서 현실감각을 깨워야 합니다.

정인: 나와 다른 음양이 나를 생하려고 하니 열심히 알려고 하게 됩니다.

내가 모르는 것은 알아보고자 하기에, 정관으로 생성시켜서 바른 것을 받아야 합니다.

인성은 내가 적응하고 알려고 하는 것이니 정인이 더 길신이 되게 됩니다.



2. 비견(평신) vs 겁재(흉신)/양인(극흉신)

비견: 나와 같은 음양이 내 주변에 있으니 나와 비슷한 사람과 가까이 지내게 됩니다.

비슷한 사람만 가까이 지내려 하기에, 적으면 서로 도움이 되며 많으면 서로 피해가 됩니다.

겁재: 나와 다른 음양이 내 주변에 있으니 나와 다른 사람과도 가까이 지내게 됩니다.

아무 사람과도 가까이 지내려 하기에, 정관으로 제화시켜야 인정받는 조직이 됩니다.

겁재에 비견까지 합한 양인의 경우 편관을 통해 강제제압해야 인정받는 조직이 됩니다.

비겁은 신약한 사주가 아니면 없어야 좋은 성분이기에 대체로 흉신입니다.



3. 식신(길신) vs 상관(흉신)

식신: 나와 같은 음양을 내가 생하려고 하니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잘하려고 합니다.

잘하고 싶은 것을 하기에 전문성이 생기며, 비견으로 생성하면 인기도 얻게 됩니다.

상관: 나와 다른 음양을 내가 생하려고 하니 내가 하고 싶지 않은 것도 잘하려고 합니다.

못하는 것을 잘하려고 하기에 전문적이기 어렵고, 정인으로 제화시켜야 소통이 원활합니다.

상관은 좋아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아닌 잘하는 것에 집중하려는 성향입니다.

식상은 전문적인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니 식신이 더 길신이 되게 됩니다.



4. 편재(길신) vs 정재(길신)

편재: 나와 같은 음양을 내가 관리하려고 하니 내가 갖고자 하는 것을 갖고자 합니다.

갖고 싶은 것을 갖고자 하니 수완이 좋으며, 식신으로 생성하면 전문성도 있게 됩니다.

정재: 나와 다른 음양을 내가 관리하려고 하니 남이 갖고자 하는 것도 갖고자 합니다.

못가진 것을 갖고자 하니 절약정신이 있으며, 식신으로 생성하면 전문성도 있게 됩니다.

재성은 둘다 길신이나 갖고자 하는 목표성이 있는 편재가 조금 더 길신입니다.



5. 편관(극흉신) vs 정관(최길신)

편관: 나와 같은 음양이 나를 관리하려 하니 내가 따르려는 것만 따르려고 합니다.

내가 따르고 싶을때 따르니 편을 가르게 되어, 식신으로 제화해야 인기를 얻어 문제가 안생깁니다.

정관: 나와 다른 음양이 나를 관리하려 하니 내가 따르고 싶지 않아도 따르려고 합니다.

내가 따라야 하면 따르니 편을 가르지 않기에, 재성으로 생성해야 실질적 권한을 얻습니다.

사람은 이렇게 크게 10가지의 심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10가지의 심리를 잘 파악하면 인간관계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것입니다^^

또한 자신의 마음을 다잡을 때도 도움이 됩니다. 사람 만날때도 가능하면 길신류를 만나야 성공합니다.

흉신은 극제시키고 길신은 상생시키면 세상에서 필요로하는 인간이며 심리가 되는 겁니다.

Comment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비추
2673 사주 기신대운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댓글+1 G 미리 06.17 11 0 0
2672 사주 (사주) 대한민국에서 식상(식신, 상관)이 필요한 이유 댓글+1 G 소비 06.17 13 0 0
2671 사주 사주 관법은 다양하게 갖추는것이 유리합니다 댓글+1 G 길조 06.16 14 0 0
2670 사주 나는 상관, 상관격 사주가 좋다 댓글+1 G 길조 06.16 26 0 0
2669 미스터리 하나님, 주님 백년 천년 외친다 해도... 댓글+1 G 길조 06.16 13 0 0
2668 사주 인연을 맺으면 안되는 사주 댓글+1 G 올빛 06.15 37 0 0
2667 사주 용신대운이 되고 나에게 일어난 일 댓글+1 G 옴뇸 06.15 26 1 0
2666 사주 (사주팔자) 겁재는 꼭 필요한 십성입니다 댓글+1 G 릿카 06.14 36 2 0
2665 사주 (사주 인문학) 시공간을 초월하는 방법 댓글+2 G 릿카 06.13 37 2 0
2664 사주 사주 월간과 시간이 의미에 대해서 댓글+1 G 누리 06.13 33 0 0
2663 사주 사주명리학 편인에 대한 고찰: 역경과 고독을 이겨내는 힘 댓글+1 G 소피나 06.12 50 0 0
2662 사주 사주명리학과 격국 댓글+1 G 북풍 06.12 25 0 0
2661 사주 강해보이고 싶어하는 칠살과 이를 다스리는 식신 댓글+1 G 경공 06.11 37 0 0
2660 사주 (사주) 자수는 인목을 살리는데 묘목은 살리지 못한다 왜일까? 알아보자 댓글+1 G 이안데 06.11 38 0 0
2659 사주 오행 금(金)에 대해서 댓글+1 G 설화 06.10 58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