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처궁, 남편궁, 조상, 부모, 자녀운 보는 방법

사주팔자 처궁, 남편궁, 조상, 부모, 자녀운 보는 방법

G 이위화 1 6,787 2022.01.29 16:41

남자의 처궁(妻宮)

처궁(妻宮)은 財의 청탁과 日支로 판단한다. 財가 용신 또는 희신이 되고 파극(破克)되지 않아야 하며 태왕(太旺)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아서 적당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설사 재가 용신 또는 희신이 아니더라도 日主를 극해하지 않아야 한다.
-. 財가 희신이고 淸하면 현명한 아내를 얻는다.
-. 財가 기신이고 濁하면 사납고 포악한 아내를 얻는다.
-. 財가 청하려면 신왕하고 식상의 생조와 관성의 호위가 있어야 한다.

극처(剋妻)

-. 財가 약하고 관성이 없는데 비겁만 태왕하면 극처(剋妻)한다.
(극처란 약하면 헤어지는 것이고 흉하면 아내를 잃는다. 물론 운로도 보아야 함.)
-. 재다신약(財多身弱)에 비겁이 없으면 극처(剋妻)한다.
-. 관살이 왕성하여 인수용신인데 재가 인수를 극하면 처가 못났거나 극처(剋妻)한다.
-. 재가 약한데 관살이 왕성하고 인수가 있고 식상이 없으면 처가 병약하다.
-. 비겁이 왕성한데 財弱하고 식상이 있는데 인성이 식상을 극하면 처가 흉사한다.
-. 신왕하고 관살이 미약한데 재성이 관살을 생조하거나(財용신) 인수가 태왕한데
재가 힘이 있으면(財용신) 처가 어질고 아름답다.
-. 일주가 財를 깔고 앉고 財가 희(용)신이면 돈많은 아내를 얻는다.
-. 財가 희신인데 한신과 합하여 財로 화하면 처덕을 본다.

처덕있는 사주

-. 財의 청탁을 따지고 나서, 다음으로 日支의 길흉신여부, 형충파해여부를 본다.
-. 日支가 용신희신이면 좋고 기신이면 나쁘다.
-. 日支가 길신(정인,정관,식신)이면 좋고, 일지가 흉신(효신,칠살,상관)이면 좋지 않다.
-. 일지정관,정재이고 용신희신이면 미모의 처를 만난다.
-. 재성이 천을귀인이면 기품이 있는 처를 만난다.
-. 신왕한데 천간재성이 건록지에 앉았고 식상의 생조가 있으면 현숙한 처를 만난다.
-. 재성이 천덕이면 인자한 처를 만난다.
-. 일지식신이면 풍만하고 후덕한 처를 만난다.
-. 월지정재이고 희신이면 부귀한 가문의 처를 만난다.

처덕없는 사주

-. 일지편인인데 기신이면 병약하고 왜소한 처를 만난다.
-. 일지편관에 기신이고 제화되지 않았으면 처가 포악하고 일지충이면 병약,재혼한다.
-. 신왕하여 비겁이 기신인데 일지양인이면 처가 시비다툼이 많고 낭비벽이 있다.
-. 일지 고신,과숙,화개살이거나 재성이 고신살이면 처가 고독하다.
-. 재다신약이면 공처가이거나 처가 남편을 무시한다.

재성이 탁하고 다음 경우에 여러가지가 해당하면 재혼사주이다. 재가 청하면 해당없음.

-. 정편재가 혼잡하여 많으면 좋지 않다.
-. 편재가 여러개(2개이상)있으면 좋지 않다.
-. 일지에 육친흉신(효신,칠살,상관,겁재)이 있는데 형충파해하면 좋지 않다.
-. 일지가 양인이거나 백호대살, 괴강살이 있고 형충파해가 있으면 좋지 않다.
-. 천간합, 지지합이 너무 많아도(3개이상) 좋지 않다.
-. 일지도화살에 다시 타주에 도화살이면 좋지 않다.
-. 일지에 도화살과 역마살이 같이 있으면 배우자가 도주한다.
-. 지장간 여기,중기에 정편재가 많거나 일간과 암합이 될 경우 외도하거나 재혼한다.

남자의 결혼시기

-. 일지와 삼합, 육합이 되는 세운,월운에 결혼한다.
-. 재가 용신희신이면 재운에 결혼한다.
-. 인수가 희신이면 인수운에 결혼한다.
-. 재다신약은 비겁운이면서 일지와 합이 되는 세운,월운에 결혼한다.
-. 종격사주는 대운,세운이 모두 희신이 되는 운에 결혼한다.

여자의 남편궁(男便宮)

여자의 사주는 官의 청탁과 日支로 판단한다 남편과 자식이 중요하니 이를 위주로 본다. 여명은 남편성(夫星)의 쇠왕으로 귀천을 판단하고, 격국의 청탁으로 현명하고 어리석음을 알 수 있다.

여명의 청탁
-. 여자의 사주는 관살혼잡과 상관태왕을 가장 꺼린다.
-. 여명이 신왕태왕하면 남편을 따라 살지 않고 사회생활로 자립하는 경우가 많다.
-. 여명은 상관격이면 미모인 경우가 많다.
-. 상관이 2개이상이고, 제화가 되지 않았으면 경박하고 음란할 수 있다.
-. 상관격인데 신약하고 인수가 있거나, 신왕하고 財가 있으면 미모이고 총명하며
정절을 지킨다.
-. 사주가 안정되고 평화로우면 여자답고 현모양처가 된다.

남편성의 청탁

-. 남편은 관성(官星)이다.
-. 사주에 관성이 태왕하거나, 태약하면 용신을 남편으로 삼는다.
-. 살중용인격, 상관용인격에서는 인수가 남편이다.
-. 식신제살격, 비겁이 태왕하면 식상이 남편이다.
-. 인성이 태왕하거나, 일주와 식상이 모두 왕성하면 재성이 남편이다.
-. 남편을 공경하지 않는 것은 신왕태왕하고 관성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극부(剋夫)

-. 관성이 미약한데 재성이 없고 일주가 왕성하면 극부한다.
-. 일주가 왕한데 상관이 태왕하면 극부한다.
-. 관성이 약한데 인수가 많고 재성이 없으면 극부한다.
-. 비겁은 왕성한데 관성이 없거나 인수가 왕한데 재성이 없으면 극부한다.
-. 관성이 태왕하고 인성이 없어도 극부한다.
-. 비겁이 왕한데 관성이 없고 상관용신인데 인수가 왕하여 상관을 극하면 극부한다.
-. 식상이 많은데 관성이 약하고 인수용신인데 재성이 인수를 극하면 극부한다.

남편덕있는 사주

-. 신왕하고 일지식신이 희신이고 편인이 지지에 없으면 후덕한 남편을 만난다.
-. 신왕하고 일지정관이 희신이면 미남이고 낙천적인 남편을 만난다.
-. 신왕하고 관성이 희신인데 천덕,월덕이 관성이면 자비로운 남편을 만난다.
-. 신약에 일지가 인수로 희신이면 현명한 남편을 만난다.
-. 신약에 일지가 비견으로 희신이면 재주많은 남편을 만난다.
-. 무오, 병자일생은 미남자를 만나고 일지정관이나 용신이면 미남이다.
-. 정편관이 천을귀인과 동주하면 미모의 남편을 만난다.
-. 종살격은 부귀명문가의 남편을 만나 부귀를 누린다.

남편덕없는 사주

-. 일지편관이나 일지기신이면 성질이 강하고 까다로운 남편을 만난다.
-. 일지가 형충파해가 되거나 양인이 많으면 허약하거나 병약한 남편을 만난다.
-. 관성이 목욕지에 앉아 있거나 관성과 도화살이 동주하면 바람피우는 남편이다.
-. 비견겁재가 많거나 식신상관이 많을 경우 외도하는 남편을 만난다.
-. 용신이 간합,지합으로 기신이 되면 바람피우는 남편이다.
-. 일지에 편관,고신,과숙살,화개살이 있으면 고독한 남편을 만난다.
-. 천간합과 지지합이 많거나 일지를 형충하고 있을 경우 무덕한 남편을 만난다.

관성이 탁하고 다음 경우에 여러가지가 해당하면 재혼사주이다. 관이 청하면 해당없음.

-. 신왕하고 식상도 왕성하며 관성이 쇠약하면 부부풍파로 이혼한다.
-. 비겁이 대다수로 태왕할 경우 좋지 않다.
-. 인성이 대다수로 태왕해도 좋지 않다.
-. 재다신약이 극심하면 좋지 않다.
-. 비겁인성이 모두 태왕한데 관성이 없거나 식상이 미약해도 재혼팔자이다.
-. 관성이 쇠약한데 식상이 태과하여 관성을 파극하면 재혼팔자이다.
-. 일지의 관성을 형충해도 좋지 않다.
-. 진술축미가 많거나 일지를 형충파해하면 좋지 않다.
-. 간합, 지합이 많으면 좋지 않다.
-. 일주가 백호대살,괴강살,고신과숙살이고 쇠병사묘절이면 재혼팔자이다.

여자의 결혼시기

-. 신약하면 비겁,인성세운에 결혼하는데 일간,일지를 합하는 월운에 결혼한다.
-. 신왕할 경우 세운,월운에 관운이면 결혼하고 관이 용신이면 더 확실하다.
-. 사주에 식상이 있을 때 세운,월운이 식상과 합이 되면 결혼한다.
-. 세운월운이 용신,희신운에 결혼한다.
-. 연주를 충,삼형하고 일지와 합이 될 때도 결혼한다. 세운과 월운이 일치하는 운.

자녀(子女)

자녀는 食傷의 청탁과 時柱로 판단한다. 식상이 용신 또는 희신이 되고 인수에 의해 파극(破克)되지 않아야 하며 태왕(太旺)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아서 적당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설사 식상이 용신 또는 희신이 아니더라도 재관과 유정(有情)하고 일주와도 어그러지지 않아야 한다.

-. 식신상관이 청하면 식신상관이 자식이다. 식신상관의 바른 위치는 時柱.
-. 신왕하고 관성이 용신이면 관살을 자식으로 삼는다.
-. 신왕하고 재용신이면 재를 자식으로 본다. 妻와 자식의 길흉을 같이 본다.
따라서 극처(剋妻)하면 동시에 극자(剋子)한다.
-. 쇠약할때는 인수로 자식을 삼는다. 이 경우 父母와 자식의 길흉을 같이 본다.


-. 일주가 태왕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아서 힘이 적당해야 자식이 많다.
-. 일주가 旺하고 인수가 없는데 식상이 있으면 자식이 많다.
-. 일주가 旺하고 인수가 旺하고 식상이 경미하고 재성이 없으면 자식이 적다.
-. 일주가 旺하고 인수가 旺하고 식상이 경미하고 재성이 있으면 多子에 현명하다.
-. 일주가 旺하고 인수가 旺하고 식상이 없고 재성이 있으면 多子에 능력도 있다.
-. 일주가 약하고 인수가 있고 식상이 없으면 자식이 많다.
-. 신왕하고 식상재관이 모두 있어 생화유통될 때
-. 신왕하고 인성이 없는데 식상이 약하고 관성이 왕성하면 자식이 많다.
-. 관성이 희신인데 관성이 장생,건록,제왕에 앉았고 형충파해가 없는 사주.
-. 신왕하고 인성이 있고 무관성인데 식상이 약하고 재성이 많으면 자식이 많다.
-. 신왕하고 時에 재성,관성이 있으면 자녀가 온순효도한다.
-. 일간이 힘이 있고 식신이 있는데 편인이 극하지 않으면 자식이 신체가 풍만하다
-. 신왕하고 식신이 천월덕과 동주하면 자식이 자비심이 있고 효도한다.
-. 신약하여 비겁용신인데 시주에 비겁이 자리하면 자식복이 있다.
-. 신왕하고 월주에 재성이 있는데 시주에 관성이 있으면 효자이다.

무자식팔자

-. 일주가 약하고 인수가 경미하고 재성이 있으면 자식을 둘 수 없다.
-. 일주가 약하고 인수도 약하고 식상이 태왕하면 끝끝내 자식을 못 둔다.
-. 일주가 약하고 식상이 경미하고 비겁도 없는데 관성만 있으면 자식을 못 둔다.
-. 일주가 약하고 관살이 태왕하고 비겁이 없으면 자식을 둘 수 없다.
-. 일주가 왕하고 식상이 있는데 인수가 식상을 파극하면 극처, 극자한다.
-. 火多土燥無子 - 火가 태왕한데 土가 건조하여 사주가 너무 조열하면 자식이 없다.
-. 土金濕滯無子 - 토는 습하고 금은 정체되어 있으면 자식이 없다.
-. 水泛木浮無子 - 수가 넘쳐서 목이 물에 떠내려 가면 자식이 없다.
-. 金寒水冷無子 - 금수가 많아서 사주가 너무 한냉하면 자식이 없다.
-. 重疊印綬無子 - 인수가 중첩되어 있으면 식상이 힘이 없으니 자식이 없다.
-. 財官太旺無子 - 재성,관성이 태왕해도 자식이 없다.
-. 萬局食傷無子 - 만국이 식상이라도 자식이 없다.

요약컨대, 일주와 용신이 힘이 있으면 자식은 많으며, 일주가 미약하고 식상이 태왕한데 제화되지 않은 경우 자식이 없다.

남자가 자식복없는 사주 - 식상이 탁할 때

-. 식상의 청탁을 보고 나서 시주의 길흉신여부, 형충파해등을 본다.
-. 상관용인격에서 인성이 있으나 재성이 인성을 파극하면 자식이 불효하다.
-. 시주에 고신,과숙살이 있거나 고신과숙살이 식상과 동주하면 자녀가 고독하다.
-. 시지가 형충파해되면 자녀와 이별하거나 별거한다.
-. 신왕한데 시주에 편인이면 자식의 성질이 나쁘거나 부모가 자식을 극한다.
-. 신약한데 시주편관이 있으면 자식의 성질이 횡폭하고 부모에게 불효한다.
-. 시주에 관성이 간합,지합되면 여식의 품행이 단정치 못하다.
-. 신왕하고 시주에 양인이 있으면 자식의 성질이 횡폭하고 불량하다.
-. 신왕하고 시주에 겁재가 있으면 자식의 보증이나 금전문제로 피해본다.
-. 시주의 식신이 편인에 의해 파극되면 자녀가 신체허약 또는 왜소하다.
-. 시주에 병묘사의 십이운성이 있거나 식상과 동주하면 자식이 질병이 있다.

여자가 자식복없는 사주 - 식상이 탁할 때

-. 극심한 신약으로서 식신상관이 기신이 되면 자식으로 고통받는다.
-. 식상이 사묘절로서 형충파해가 같이 있으면 자식이 질병이 있다.
-. 시지가 사묘절이 되고 형충파해가 같이 되면 유산이 되거나 죽은 자식이 있다.
-. 시주의 식상이 약한데 재성이 태왕하여 설기하면 자식이 질병이 있다.
-. 식상의 기운을 인성이 파극하고 괴강살, 백호대살, 양인살등이 있으면 流産이 있다.

부모(父母)

부모운(父母運)은 인수의 청탁과 연월주로 판단한다. 인수가 용신 또는 희신이 되고 財에 의해 파극(破克)되지 않아야 하며 태왕(太旺)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아서 적당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설사 인수가 용신 또는 희신이 아니더라도 재관과 유정(有情)하고 일주와도 어그러지지 않아야 한다.

-. 인성이 부모이다. 인수의 바른 위치는 월주.
-. 年官 月印인데 관이 희(용)신이고 日時에 재가 있으면 출신이 부귀하고 조업을
지키고 이루는 사주이다.
-. 年食傷 月비겁, 年印 월비겁인데 財가 희(용)신이고 日時에 財가 있으나
손상되었으면 출신은 빈한하나 자기가 창업하는 사주이다.
-. 官이 희(용)신인데 日時에 財를 만났거나 인수용신인데 日時에 官이 있으면
조업(祖業)을 일으키고 가문을 빛낸다.
-. 年食傷 月印인데 인수가 희(용)신이고 日時에 官이 있으면 부모가 창업한 것이다.
-. 日時에 인수를 가지고 있으면 자기가 창업하였음을 알 수 있다.

-. 日時에서 재,식상이 연월관인을 충극하면 자손이 조업(祖業)을 파괴하고 탕진한다.
-. 官이 희(용)신인데 日時에 상관이 있거나 인수용신인데 日時에 財를 가지면
조업(祖業)을 파괴하고 가문을 더럽힐 것이다.
-. 年印 月財에 인수가 희(용)신이고 時에 官을 가지고 있으면 부모가 실패한 것이다.
-. 年비겁 月財에 財희신이면 遺業이 풍성하고 비겁이 희신이면 淸高하나 가난하다.

부모덕없는 사주

-. 신왕하여 관성이 희신인데 월간에 식상이 있을 때.
-. 신왕하여 재성이 희신인데 월간에 겁재가 있을 때.
-. 신왕하여 재성이 희신인데 정재가 정인을 극할 때.
-. 신왕하여 식상이 희신인데 월간에 인수가 있을 때.
-. 신약하여 인수가 희신인데 월간에 재성이 있을 때.
-. 신약하여 인수가 희신인데 재성이 인수를 파극할 때.
-. 신약하여 비겁이 희신인데 월간에 관성이 있을 때.
-. 월지인수에 형충이 있을 때.
-. 월주가 사묘절인데 양인,백호,괴강살이고 형충파해가 되면 부모을 일찍 여읜다.
-. 인수가 희신이나 정인,편인이 혼잡하면 부모덕이 없다.
-. 기타 월주가 기신이 되고 용신을 파극하면 부모덕이 없다.

조상(祖上)

-. 연월주에서 官印이 상생하면 조상의 음덕이 있다.
-. 年官月印이나 年印月官은 조상이 淸高할 것이다. (뼈대있는 가문)
-. 오행이 생화유통되었는데 연주에 재성,관성이 있거나 인수가 천을귀인과
동주하면 조상이 부귀했다.
-. 연주가 용신희신이고 십이운성의 제왕지에 해당하면 조상이 부귀했다.
-. 연주가 육친흉신(효신,칠살,상관)이고 사묘절, 형충파해가 있으면 조상덕이 없다.
-. 연주에 괴강,백호,양인이 있는데 형충파해가 있으면 흉사한 조상이 있다.


형제(兄弟)

형제운(兄弟運)은 비겁의 청탁, 월주로 판단한다. 비겁이 용신 또는 희신이 되고 관살에 의해 파극(破克)되지 않아야 하며 태왕(太旺)하지도 않고 약하지도 않아서 적당한 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설사 비겁이 용신 또는 희신이 아니더라도 재관과 유정(有情)해야 한다.

-. 비견,祿이 형이고 겁재, 양인이 동생이다. 형제의 바른 위치는 월주이다.
-. 일반적으로 형제의 길흉은 처자(妻子)에 비하여 보기가 간단치 않다.
-. 관살이 왕성하고 無食傷, 無印綬인데 겁재,칠살이 합이 되면 동생의 도움을 얻는다.
-. 관살이 왕성하고 식상,인수가 약한데 재성이 있을 때 비견이 칠살을 대적하면
형의 도움을 받는다.
-. 제살태과(制殺太過)에 비겁이 있으면 형제의 해를 받는다.
-. 비겁은 旺하고 財는 약한데 인수가 상관을 극하면 가난함을 면할 길 없다.
-. 재관이 실세하였는데 비겁과 인수가 횡포하면 형제가 불화한다.
-. 재관이 득세하여 왕성한데 비겁이 도우면 형제의 우애가 있다.
-. 일주가 쇠약하더라도 인수가 월령에서 제강되면 형제가 무리를 이룬다.
-. 비겁이 왕성하고 財가 약한데 식상이 겁재를 통관하면 형제간 화목하다.
-. 일주가 쇠약하고 인수가 있는데 재성이 겁재를 만나면 형제가 서로 다툰다.
-. 겁재가 월주에 있으면 이복형제가 있다.

Comments

육친 그리고,그외 인덕 인연 관계의 길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