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비견과 인성의 관계

사주 비견과 인성의 관계

G ㅇㅇ 2 3,604 2022.08.25 13:23

비겁과 인성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비겁은 주체성이자 의지 그리고 근거 없는 무식한 고집과 같은 건데요.

사람이 어느 정도 고집도 있고 주체성도 있어야 하지 않겠어요.
문제는 무엇이든 과해지거나 부족할 때 발생하는데요...

비겁이 많아버리면 재성을 위협하잖아요.
자기 개성에 젖어서 현실성을 상실하는 일이 발생합니다.

무엇이든 내 맘대로 할꼬얌 하다가 가산을 털어먹는 사람들 주위에서 많이 봅니다.

이때 비겁이 강한데 인성이 어설프게 드러나버리면 비겁이 인성을 설해버리기 때문에 근거 없는 고집이 아니게 되는데요.

인성은 생각이자 사상이잖아요. 안 그래도 비겁 많아서 고집 센 사람이 인성을 만나버리면 비겁이 자기의 고집을 세우기 위해 사상을 동원하는 일이 발생하지요.

개똥철학 같은 건데요. 이렇게 되면 문제는 상당히 심각하게 돼죠.
고집이 센데다 아전인수의 자기 논리마저 갖게 되니 두 손 두 발 들어야하구요.

이 때 만약 인성이 관을 보게 되면 어떨까요.

인성이 관을 보면 권위에 의존한 생각이니 플라톤이 어떻고 스피노자가 어떻고 공자왈 맹자왈이 어쩌니 하면서 자기 논리 위에 권위에의 호소까지 하게 되지요.

여기다 인성이 형 맞아 버리면 아뿔싸 이런 사람과는 아예 같이 말을 안섞는 게 좋겠네요.

한 가지 가정을 더 해볼까요.
여기에 식상이 또 어설프게 드러났다고 쳐요.

그러면 식상 역시 역으로 빨리게 되어 자기 맘대로 몸을 움직이다 가산을 털어먹게 되는 가장 완벽한 궁극의 트라이앵글을 완성하게 됩니다.

수다목부 금침수탕 토다매금 이런 얘기를 여러분은 들어보셨을 줄로 압니다.

이제부터 본론입니다.
그럼 반대로 비겁이 많은 사주에 인성을 드러내지 않고 숨기게 되는 경우는 어떨까요.

비겁이 강해서 개성이 강한 사람이 인성 또한 강하다면 자기 개성에 걸맞을 만큼 공부를 하고 생각 또한 폭이 넓겠지요.

비록 인비가 강해서 반대로 식재관이 약해지는 사태는 생기겠지만, 설기할 것이 약해서 골방 샌님이 될 수는 있겠지만 이런 사람은 허생 같은 사람으로 운을 잘 만나면 한 번 세상으로 나가서 세상을 흔들어볼 만한 가능성은 가지고 있을 겁니다.

어설프게 드러나면 아전인수 자기만의 세계에 갇힌 사람이 될 테구요.

그런데 인성이 숨는다면요. 어떻게 될깝쇼.

 

개성이 강하긴 한데, 자기 개성을 풍부하게 함양할 만한 공부는 하지 않고, 그렇다고 해서 어설프게 공부해서 따돌림 당할 일도 없겠지만, 인성이 숨는다면 어떨까요.

내가 나의 개성이 강하긴 하지만, 그래서 그걸 받쳐줄 만한 공부를 하지는 못했지만, 최소한 아전인수는 안되겠다는 성격이 형성됩니다.

분명 인성이 받쳐주는 사람 만큼은 못하겠지만, 최소한 쓸데없이 자기를 정당화하기 위해 되지도 않는 논리를 끌어 쓰지는 않겠다 정도의 사람이 아닐까 하구요.

요즘 저는 과하거나 부족하거나 보다는 무엇이든 어설프게 드러나버리면 그게 병이라고 생각합니다.
과하면 아예 과해버리고 필요 없는 것이면 아예 빼버리고.

이런 사람은 고집불통이지만 그래도 말은 통하는 사람이겠지요.
우직할 수는 있으나 오히려 정직한 사람일 수도 있겠고요.

비겁은 본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뭐라고 설명할 수 없는, 알 수 없이 본인이 믿는 바를 따르되, 즉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바를 따르되, 그것을 합리화하려고는 하지 않는 사람.   

순수한 본능에 입각하여, 행동하는 그런 느낌이 오히려 귀여운 면이 있기도 합니다.

Comments

G 2022.08.27 12:11
오행 육신의 작용 원리에따라서,천차만별 천양지차이가 발생 달라지는 요지경속 세상을 살아가는 수많은 인생들............통계 교과서적으로는 518,400가지의 제한된 경우의 수가 있다지만 또 다른 더 많은 무한수의 경우의 수도 있는것같습니다.
저와 인연이 닿은 몇몇 「이보통령」인 분들은 저의 과거는 말씀 안해주시고 앞으로 미래에대해서만 알려주셨던것같습니다.(그 당시에는 그래서 그 분들(이보통령)말씀(메세지)을 귀담아 듣지도않았었고 곧이듣지도 않았었는데,몇십년이 흐른뒤에 현실로 다가와 겪게되니 실감하고 깨닫게됩니다.)
G 2022.09.01 12:26
불가항력 이끌림으로 변화 흐름대로 겪을건 겪고 만날건 만나고 당할건 당하게되는,{천지우주 대자연의「설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