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팔자 역마에 대한 이해

사주팔자 역마에 대한 이해

G 사랑방손님 0 4,509 2021.03.21 17:16

 

 

(역마에서 뒤로 한자리를 가면 반안(攀鞍)이 된다. 사람이 말을 타면 안장을 대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그래서 역마를 논할 때 반안이 필요하다.)

역마란 선천(先天) 삼합의 수가 만난 것이다. 선천수는 寅 7, 午 9, 戌 5로 합이 21이다. 子에서 순행해서 申까지 가면 21이다. 그래서 화국의 역마가 된다. 亥卯未의 수는 4,6,8로 합은 18이다. 子에서 순행으로 18번째가 巳인데 목국의 역마가 된다. 목화는 양국(陽局)으로 일양(一陽)인 子에서 순행한다. 금수는 음국(陰局)으로 일음(一陰)인 午에서 역행한다. 그러므로 申子辰의 수는 7,9,5로 합이 21이다. 午에서 역으로 21번째가 寅이 되며 수국의 역마이다. 巳酉丑의 수는 4,6,8로 합18이다. 午에서 18번째가 亥가 되며 금국의 역마이다. 역마를 구하는 방법이 이렇게 나온 것이다.

역마는 기운을 받아들이는 자리이다. 나를 대신해서 일을 처리한다. 사람이 병들어 움직일 수 없으면 자식이 와서 부축해 주길 기다린다. 그래서 오행의 병(病)의 자리에서 자식을 보는 것이 역마이다.




옥소보감에 나온다. “역마는 오행의 작용이며 곧 쓰일 기운이다. 그래서 억지로 붙인 이름이다. 음양이 서로 의지하고 기운이 철에 따라 순환한다. 요즈음 우체부처럼 받고 보내는 일을 한다. 기운이 역(驛)에 모였다가 말처럼 움직이는 것이다. 寅午戌은 화에 속하며 수가 그 속에 숨어있다. 申을 만나면 申이 수를 생하고 화가 작용이 더욱 더 두드러진다. 그러면 양(陽)속에 음(陰)이 움직여 변화가 일어난다. 申子辰은 수에 속한다. 그 속에 화가 들어있다.

 

寅이 화를 생해 원만히 조절하면 음에서 양이 꿈틀거리며 살아난다. 亥卯未는 목에 속한다. 금이 그 속에 들어있다. 巳를 만나면 사는 금을 생하는 풀무와 같다. 그러면 움직이던 것들이 고요해지고 수렴되었던 기운이 펼쳐진다. 巳酉丑은 금에 속한다. 목이 그 속에 들어있다. 亥에서 목을 생해 꽃을 피운다. 그러면 수렴된 것이 펼쳐지고 움츠린 것이 몸을 편다. 그래서 수화목금(水火木金)이 서로 뒤엉켜 작용한다. 시기에 맞게 움직이고 고요해진다. 안과 밖이 기운을 서로 감지하면서 서로를 이용한다.”

“때가 되면 모든 것이 때에 맞게 움직인다. 움직임이 극에 달하면 때에 맞추어 물러난다. 그러므로 옛사람들이 역마라고 억지로 이름 붙인 것이다. 한 예를 든 것이지만 나머지도 궁리해보면 그 이치는 하나로 통한다. 그래서 굳이 寅午戌의 역마는 申, 申子辰의 역마는 寅이라고 얽매일 필요는 없다. 물속에서 불이 끓어오르고, 불 속에 물이 떨어진다. 음양이 조화를 이루고, 강유가 서로 변화하면 역마의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희윤(希尹)이 말했다. “고인들이 오행의 변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역마라고 생각했다. 화국(火局)이 申,수국(水局)이 寅,금국(金局)이 亥,목국(木局)이 巳를 만나면 오행의 기운이 상반되므로 충격이 시작된다. 그러므로 화의 역마는 반드시 수의 장생처에 있고, 수의 역마는 반드시 화의 장생처에 있다. 목금도 그러하다.”

서자평이 재성을 역마로 간주한 것은 고인들이 오행을 극하는 자리에 이름을 붙인 것과 취지가 같다.




촉신경(燭神經)에 나온다. “역마가 생왕하면 사람의 기운이 고르고 장중하다. 때에 맞춰 변화하면 평생 명성이 높다. 역마가 사절(死絕)되면 매사에 용두사미가 되고, 시비구설이 많고, 평생 성취가 적으며 안주하지 못하고 떠돈다. 역마가 록과 같이 있으면 복이 많다. 역마가 충을 당하거나 고신과수, 상문조객들이 겹치면 고향을 떠나 떠돌거나 승도(僧道)나 장사꾼이 된다. 도식과 칠살이 있으면 성격이 괴팍하고 인색하다. 운이 좋으면 시장에 나가 장사를 한다. 식신이 있고 역마가 충을 당하면 명성이 뛰어난 사람이다.”

행년(行年)에 역마와 병부(病符)를 같이 만나면 질병으로 놀란다.

역마가 관부와 같이 있으면 관재(官事)로 두려워한다. 택사(宅舍)에 들면 구설로 놀라고 두려워한다. 년의 길흉을 말한 것이다.




寅午戌생인의 역마는 申에 있고 5양간이 천간에 올라탄다. 甲申을 보면 절로공망마이다. 丙申은 대패마(大敗馬), 戊申은 복성복마(福星伏馬), 庚申은 천관마(天關馬: 높은 벼슬을 한다) 壬申은 대패마(大敗馬)로 열마(劣馬)라고도 한다. 평생분주하고 재물이 부족하다. 壬申 甲申 丙申 戊申,네가지 역마는 질병이 많고 삶에 부침이 많다. 남들과 잘 다툰다. 이상 네가지 경우는 巳酉丑申 년월일시인 경우 잘 맞는다.

申子辰인은 寅에 역마가 있고 5양간이 위에 올라탄다. 甲寅은 정록문성마(正祿文星馬)라 한다. 丙寅은 복마성(福星馬). 戊寅은 복마(伏馬). 庚寅은 파록마(破祿馬). 壬寅은 절로마(截路馬)이다. 이상의 역마는 亥卯未寅 년월일시에 잘 작동한다.

巳酉丑인의 말은 亥에 있고 5음간이 올라탄다. 乙亥는 천덕마(天德馬: 열마(劣馬)라고도 한다.) 마가 천간을 생한다. 부침이 심해 성취가 없다. 자기 혼자 총명하다. (절마絕馬라고도 한다). 丁亥는 천을마(天乙馬: 臨官馬). 己亥는 왕록마(旺祿馬: 長生馬). 辛亥는 정록마(正祿馬: 病馬). 癸亥는 대패마(大敗馬: 臨官馬). 이런 말들은 申子辰亥 년월일시에 잘 작용한다.

亥卯未인은 巳에 역마가 있고 5음간이 올라탄다. 乙巳는 정록마(正祿馬)이다. 丁巳는 왕기마(旺氣馬). 己巳는 구천록고마(九天祿庫馬). 辛巳는 절로마(截路馬: 일설에는 귀인이 있으면 흉이 반으로 줄어든다고 한다) 癸巳는 천을복마(天乙伏馬: 일설에 의하면 천을귀인이 있어 좋다고 한다) 이상의 말들은 寅午戌巳 년월시에 잘 작용한다.




사주에 역마가 있으면 공망(空亡), 파패(破敗) 교퇴(交退: 교신과 퇴신), 복신(伏神)이 없어야 한다. 반드시 관성이 자신의 록의 보고, 천을귀인이 역마의 자리에 있어야 한다. 또 다른 신살이 함께 있으면 큰 권한을 지닌 벼슬을 하고 조정에 근무한다.

시에 역마가 있으면 가장 좋다. 일에 있으면 중간이고 월에 있으면 일반인과 차이가 없다.

고마(庫馬)가 있으면 어린시절이 즐겁다. 왕마(旺馬)가 있으면 장년시절에 영화롭다. 생마(生馬)를 노년에 얻으면 관이 낮아도 오래 근무한다. 목이 亥에서 장생으로 왕하고, 묘의 고지는 未이다. 나머지도 이렇게 추론하다.

낙록자가 말했다. “생마(生馬)라고 해서 마(馬: 재성)가 있지 않고, 배록 (背祿: 상관)이라 해서 록(祿: 관)이 없는 것은 아니다” 왕지나 고지를 보면 배(背)나 생(生)을 따지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오행의 변화와 왕쇠이다.

(역주: 亥가 巳를 보면 생마(生馬), 卯가 巳를 보면 왕마(旺馬), 未가 巳를 보면 고마(庫馬)라고 한다.)


“역마가 삼명(三命: 祿命身)에 작용을 하면 좋은 일이 있다. 사람이 역마를 만나면 군자는 높은 자리에 오르고 일반인은 재물이 풍부하다. 대소운과 행년(行年)에서 역마를 만나면 벼슬을 하거나 승진한다. 소운이나 행년이 역마와 합하면 승진하거나 재물을 얻는다. 甲子인의 역마는 寅으로 소운과 태세가 亥에 이르면 亥와 寅이 합을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