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지지(地支)의 구조

12지지(地支)의 구조

G 아니마 1 4,143 2021.11.02 13:00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


 

이는 땅(지구)의 기운을 말한다.


 

계절별로 표시하면

인묘진(寅卯辰) - 정월 2월 3월 - 봄

사오미(巳午未) - 4월 5월 6월 - 여름

신유술(申酉戌) - 7월 8월 9월 - 가을

해자축(亥子丑) - 10월 11월 12월 - 겨울

봄은 목(木)이 왕성 하고

여름은 화(火)가 왕성 하고

가을은 금(金)이 왕성 하고

겨울은 수(水)가 왕성 하고 진술축미(辰戌丑未)는 토(土)가 왕성하다.


 

12지지(地支)의 구조.

십이지지(十二地支)는 계절을 대표하며

봄은 목기(木氣)가 왕하고

여름은 화기(火氣)가 왕하고

가을은 금기(金氣)가 왕하고

겨울은 수기(水氣)가 왕하고

춘하추동(春夏秋冬)사계절이 된다.

봄은 인월(寅月)에서 시작하여 진월(辰月)에서 끝나고

여름은 사월(巳月)에서 시작하여 미월(未月)에서 끝나고

가을은 신월(申月)에서 시작하여 술월(戌月)에서 끝나고

겨울은 해월(亥月)여름은 시작하여 축월(丑月)에서 끝난다.

3개월씩 묶어서 한 계절이 되니 4계절은 s년 12개월이 되는 것이다.

즉, 1순환하여 1년의 기간이 된다.

그런데 십이지지(十二地支)의 계절별 순서를 보면 인월(寅月) 목(木) - 이른 봄이다.

아직 한기(寒氣)가 있고 따뜻한 볕이 그리울 때다.

묘월(卯月) 목(木) - 봄의 기운이 완연하다. 목(木)의 색이 푸른빛으로 변하고 기운이 왕성한 시기다.

진월(辰月) 토(土) - 봄의 끝에 해당하고 여름의 문턱으로 보면 늦봄에 해당한다.

목(木)의 기운이 왕성하여 완전하게 모습을 갖추었다.

사월(巳月) 화(火) - 여름으로 들어가는 입구로서 덥다는 느낌이 들 때다. 이때는 목(木)은 기운을 밖으로 뿜어내기 시작하는 때이다.

오월(午月) 화(火) - 열기가 심하다. 성장이 활발한 시기이다.

미월(未月) 토(土) - 열기가 극에 달하는 때이며 성장이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이다.

신월(申月) 금(金) - 열기는 조금씩 하강하고 시원한 맛이 조금은 나는 때이며 금(金)기운이 힘을 내는 때이다.

이제 성장은 멈추면서 외부의 기운이 내부로 감추기 시작하니 열매가 되는 때이다.

유월(酉月) 금(金) - 완연한 가을이다. 열매가 농축되어서 하나의 결정체가 되며 이것은 다시 탄생하기 위하여 씨앗으로 되는 시기이다.

술월(戌月) 토(土) - 가을의 끝이니 금기는 퇴(退)하기 시작하고 찬 기운이 밀려오는 시기이다.

열매는 모체(母體)와 분리되어 마무리되니 기운은 하강하여 뿌리로 깊이 숨고 감춰지는 시기다.

해월(亥月) 수(水) - 금 기운이 하강하여 숨어서 물의 기운을 도와주니 물은 생기를 얻어 그 세력을 강화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다음에 탄생할 기운을 모아두는 시기이다.

자월(子月) 수(水) - 추운 엄동(嚴冬)의 시기이고 수기(水氣)는 가장 왕성하게 되니 쉬고 있는 대지에 영양을 공급하며 힘을 축적시키는 시기이다.

축월(丑月) 토(土) - 왕성하던 수(水)는 서서히 쇠퇴하고 축적된 힘을 쓰기위해 금(金)의 도움을 받고 때를 기다린다.

Comments

방송에서 간혹,12간지라고 잘못 지칭하는 경우가 있던데 10간 12지가 맞는거겠죠~
2018년에도 병신년에도,육갑하는 너님들!
그 씨발라 먹고 뱉은 과일씨를 밭에다가 심으면 시베리아 벌판같던 겨울철 허허벌판도 따스한 새봄이오면 푸른싹이 돋아나서 싹아지가 자라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