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수상관격 사주

금수상관격 사주

G 젤리 1 6,038 2021.11.02 12:55

금수상관격 사주



癸 辛 甲 戊

巳 未 子 戌

 午     亥

 

辛金 일간이 子月에 태어나 월령 癸水가 천간에 투했으니 계수를 억부하면 되는 명조입니다.

명조를 간하실 때 현재 항간에 통용되고 있는 일간을 위주로 하여 일간의 평형을 맞추어 주는 억부와 월령이 투했을 때 월령의 평형을 맞추어 주는 격국의 억부가 있습니다.

격국을 억부하는 역할을 하는 천간을 상신이라 합니다.

 

우선 일간을 위주로 강약을 따져 사주를 간해 봅니다.

자월의 경금이니 일간의 기운이 빠져나가는 휴절에 해당되므로 일간이 월령을 득하지 못하여 실령이 되었습니다.

일지 미토에도 일간 신금의 뿌리가 없어 통근하지 못하였으니 실지에 해당되고 하지만 일간을 생조해주는 인성 무토가 년지 술토와 일지 미토에 통근하여 강하니 인성의 세력으로 인해 득세한 명조입니다.



한겨울철에 출생하여 火가 필요한 사주입니다. 인성 무토가 용신이고 火가 희신인 사주입니다.



격을 살펴보면 자월의 신금이라 식신격이니 순용의 격국에 해당하므로 월간 갑목을 상신으로 하여 식신생재격에 해당하는 명조가 됩니다.

 

팔자를 간명하실 때 월령에 주목하여 월령이 투했으면 월령을 조절하여 주고 월령이 투하지 않았으면 일간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조절이란 일간이든 월령이든 순용과 역용을 따지지 않고 강한 것은 억제하고 약한 것은 부조한다는 것으로 소위 억부를 말하는 것입니다.



월령 계수가 시간에 투했는데 월령이 일간을 포함한 타간보다 강하므로 월령 계수를 억제하여 주면 됩니다.

따라서 계수를 억제하여 주는 년간의 무토가 상신입니다.



월령을 얻은 계수가 강하니 계수로 인하여 일간이 신약하여 지는 것인데 순용의 틀을 유지하려고 계수와 상생관계인 금이나 목을 상신으로 삼는다면 목의 경우는 계수의 기운을 설기하니 문제가 없지만 금은 계수를 더 강하게 하여 주니 상신으로 쓴다는 것이 논리가 맞지 않습니다.
그리고 갑목을 설기신으로 상신으로 적용하면 미약한 갑목이 과연 제대로 계수를 조절할 수 있을까 하는 점입니다.



년간의 무토가 신약한 일간을 생조하면서 강한 식신을 억제하여 주니 격도 성격시켜주고 일간에게도 도움을 주는 희신입니다.

흔히 말하는 용신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그럼 격이 정하여 졌으니 식신격의 특성을 살펴봅니다.



금수식신격이므로 총명하고 다재다능하며 학문이 넓다하겠습니다. 식신이 성격 되어 중화를 이루게 되면 심성이 넓고 후덕하며 베풀기를 좋아하고 풍류적 기질을 발휘하며 서두르지 않으며 낙천적이고 탐구심과 표현력이 뛰어납니다.



식신이 유기하거나 좋은 작용을 할 때는 성격이 너그러우며 일의 발달도 빠르고 호감을 주는 타입이고 대체로 근심 걱정이 적은 명으로 세상물정을 잘 모르는 순진성, 순수성을 가지고 있고 격이 청하고 명조가 잘 구성되어 있는 사람은 평생 의·식·주에 걱정 없는 양호한 명을 이룰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명조가 조금만 탁해도 매사에 자기중심적이고 남이 어떻게 생각하든지 자신의 행동이 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신경을 안 쓰는 타입으로 돌변하니 격이 탁한 사람은 한쪽으로 치우친 인격을 보일 수 있으며 남의 말에 쉽게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자기도취에 쉽게 빠질 수 있으며 항상 자기마음에 들어야 하고 혹 마음에 들지 않으면 일시에 고압적인 태도를 잘 취하여 인격이 미숙한 듯이 보이고 의지가 약하여 어린아이처럼 짜증을 잘 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일지 미토와 시지 사화라는 글자는 용신 무토의 힘을 강하게 만들어 주는 글자에 해당하기에 중,말년이 크게 발전하는 사주입니다.

일지 편인이 문서나 부동산이라면 관과 관련된 문서에 해당합니다. 신도시나 재개발지역의 땅과 인연이 있다는 말입니다.



시지 사화는 관이라서 관과 관련된 사업이 가능한데 사화는 금운동을 하기에 동업, 합자, 연합의 형태의 사업을 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Comments

경우에 따라서 춥거나 덥거나 습하거나 건조하거나,필요한것을 취해야 비로소 안정이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