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첩경 대목지토(帶木之土)

사주첩경 대목지토(帶木之土)

G ㅇㅇ 2 3,745 2022.10.09 10:43

土가 木을 대동(帶同)하여 임했다는 뜻이다.

지지의 토 辰戌丑未 중에서

辰未토는 乙木을 암장하고 있으므로 대목지토라고 할수 있겠으나

여기서는 辰未土 그 자체를 논하는 것이 아니고

甲乙이 辰未土와 동주(同柱)하거나

寅卯가 辰未土와 인접했을 경우

木氣가 강해진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하여

대목지토하는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가령 甲辰이나 乙未는 자좌(自坐) 대목지토이니

木氣는 강해지고 土氣는 약해지므로

財星이 더욱 약해진다는 의미가 있고

寅辰이나 卯未 등은 寅卯木이 대목지토와 인접했으니

목기는 강해지고 토기는 약해진다는 의미가 있으니

그 강약에 따라 통변성의 길흉을 판단할수 있다는 것이다.


丁 庚 甲 戊

丑 辰 寅 寅


인월경금(寅月庚金) 정축시(丁丑時)

인월갑목투간 경금은 寅月은

절지이니 신약하다

辰土가 생해주는 좋은작용으로 의식(衣食*입고먹고)은 할수 있다

庚申運 천극지충 불길..(이석영)


甲 甲 丁 戊

寅 辰 巳 子


사월갑목(巳月甲木)

목화상관(木火傷官)

화토가 강한데 사월의 여름철의 갑목이 계수를 기뻐하는데

쥐띠 자수가 子辰 수국을 이루니 습함을 가지고 있으며

적천수 천간론에 화치승룡(뜨거운 화기를 辰(龍)이 수기를 머금고 火氣를 가라 앉히니)하니 기쁜 것입니다.


辰土가 목을 만나면 대목지토라 하는데

밝게 토목을 분별하면 조화가 무궁하다.


*반대로 약한 갑을목이 운에서 대목지토의 운이 온다면

당연히 좋을 것입니다.

단지 갑진 을미 일주만이 대목지토가 되는게 아닌것이죠


가령 뜨거운 갑목이 진운을 만나거나 갑진일주라면

뜨거운 열기를 설기하고 계수가 암장되어 수기를 주며

을목으로 통근하니 당연히 좋을것이고


한습(寒濕*차갑고 축축)한 갑목일주가 신약 하다면

미토는 갑목의 통근처이고 조토(燥土*마른토)이니

습기를 제거하고 온기를 주면서 신약한 팔자에

통근처를 주니 좋은 재물이 일어날 수 있다는 해석을

하셔도 된다는 것입니다.



공부에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Comments

G 2022.10.10 07:06
이런 대목에서 무릎을 탁,치게됩니다~^0^
G 2022.10.10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