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십성간의 관계 알아보기

사주 십성간의 관계 알아보기

G 길조 1 844 2023.10.30 09:36

재성은 기업입니다.

재를 추구하고 궁극의 이념이 영리에

있는것이죠.

재성은 식상의 도움을 받습니다.

(식상생재)

식상은 마케팅 언론 방송 홍보입니다.



재성이라는 기업이 돈을 잘 벌려면

식상이라는 언론의 도움이필요합니다.

그래서 광고를하는것일겁니다.



식상은 또 기술도됩니다.

손재주로보셔도 되는데

제조하는기술입니다.

재성이라는 기업은 필연적으로

제조업을 수반하니

식상생재가 됩니다.



관성(官殺)은 정치이자 정부이며

관청입니다.

예나지금이나 정치에는 돈이 필요합니다.

합법적으론 후원금이지만 뒤로는

정치자금이겠지요.

재성은 곳 돈 그 자체이자 기업입니다.

재성이라는 기업이 관성이라는 정치를

후원합니다.

(재생관)

혹은 정부나 지자체가 어떤 큰 프로젝트를

실행키위해 예산이 부족할때 기업에게

위탁하거나 도움을 청하기도합니다.



인성은 학문이자 학교이고 인재입니다.

관이란 정부가 학교를 세우고 인재를

육성합니다.

(관생인)

허나 썩은 관이 인성(학교)을 잘못생하면

나라의 교육근간이 흔들릴수있습니다.



비겁은 나자신이자 백성입니다.

인성은 선비이자 선생님 나를 인도하는

멘토인데

인성이라는 선생님이 교수가 학교가

즉 식자들이

비겁인 백성을 계몽합니다.

계몽되고 길러진 백성은 그 결실을

식상으로 다시 이어갑니다.



식상은 혀이자 글이요 어문이니 언론이됩니다.

관성인 정부 정치를 식상인 언론이 견제

때론 공격합니다.

(식극관)



관성과 칠살은 정부인데 그것이 과하면

정치나 정부가 백성을 핍박합니다.

(관극비)

이때 식상이라는 언론이 정부와 싸우는

것이고 승리합니다.



재성인 기업은 인성인 인재를 억압합니다.

조금이라도 더 큰 이윤을얻기위해

인성이라는 인재들을 억압합니다.

(재극인)

이때 관성이 정부나 정치가 법을 만들어

인재를 보호해줘야합니다.

(재극인에서 중간에 관이 끼면

재생관 관생인 으로 상생통관됨)

혹은

재는 돈이자 여자인데 학생이

돈과 여자에빠지면?

인성이 재극인당해 공부가 안됩니다.

이를 貪財壞印 탐재괴인이라합니다.



재는 늘 관을 생하게되있습니다.

나쁘게빠지면 정경유착인데

사실 봉건시대때도 지금도 정치에

돈이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었을것입니다.

Comments

G 도하 2023.10.30 09:39
넘 재미 있게 막힘 없이 읽었습니다 너무 쉽게 이해가 됩니다~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비추
197 사주 관다신약 여자(관다녀) 겁나 피곤함 댓글+1 G 세스나 01.29 867 2 2
196 미스터리 무당이 말해주는 절대로 해선 안될 행동들 댓글+1 G 레나르 2023.12.07 864 0 0
195 미스터리 자살한 사람과 사고사한 사람의 영혼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자 댓글+1 G 시몬느 2023.11.03 858 0 0
194 사주 (사주) 인성과 배신 댓글+1 G 설화 2023.12.20 856 0 0
193 사주 공짜로 사주를 보지 말라 댓글+1 G 슈야 2023.11.15 850 0 0
열람중 사주 사주 십성간의 관계 알아보기 댓글+1 G 길조 2023.10.30 845 0 0
191 사주 내 사주팔자에 없는 것 잘 사용하는 방법 댓글+1 G 품격 2023.11.30 845 2 2
190 사주 내 사주에 없는 기운이 운에서 들어오면 좋을까? 댓글+2 G 길조 2023.12.23 843 1 1
189 사주 토가 많은 사주 왜 문제일까? 댓글+1 G ㅇㅇ 01.25 840 2 0
188 사주 사주팔자와 봄 댓글+1 G 설화 2023.10.26 833 0 0
187 사주 궁합법 관련해서 하나 알려드립니다 댓글+1 G 길조 2023.11.06 829 3 2
186 사주 사주와 계절 댓글+1 G 설화 2023.11.27 827 0 0
185 사주 드라마 이두나로 보는 십성 관계 댓글+1 G 길조 2023.10.30 823 0 0
184 사주 조후가 좋은 사주 특징 댓글+1 G 셀레나 01.07 813 0 0
183 사주 사주 토(土)의 성질과 부귀영화의 관계성 댓글+1 G 길조 2023.12.17 811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