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 통변과 궁합

육친 통변과 궁합

G 비월 1 3,768 2022.01.03 15:18

사흉신 활용법

흉신은 우선 극하는 작용을 한다.

1. 상관

1) 正官을 剋傷한다.

2) 比劫을 泄氣한다. 식신은 일간이 주는 대로 기를 발휘하는 것이라면 상관은 일주의 기를 盜氣한다. 주변의 조직이나 주변환경을 잘 활용한다.

일간도 설기한다. 상관은 일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설기한다.

설기를 심하게 하는 것을 도기한다. 일간 무리없이 설하나 상관은 일간의 도기작용을 한다.

3) 財星을 生한다.
돈을 만드는 능력이 있는데 담을 재성이 없으면 일해봤자 돌아오는 것이 없다.

첫째로 사주에 있거나 운에서 올 때 먼저 制化가 되는가 봐야한다.

상관은 인성에 의해 制化된다. 제화란 브레이크 작용을 한다.

인성이 없는 상관은 브레이크가 없는 차와 같다.

화는 교화의 의미다. 泄化는 토로하는 통로, 공간, 터를 만들어준다.

재성은 상관이 마음껏 기량을 발휘하도록 터를 제공해준다. 그래서 상관을 변화시킨다. 인성은 배운대로 정석대로 법대로, 규정대로,약속대로 하는데, 인성이 없는 상관은 통제조절이 불가능한 행동을 한다.

제화작용에서 상관은 인성을 제하고 재성으로 화하는가를 살핀다.

흉신은 받아주는 것이 있어야 선화된다.

둘째, 일주의 강약을 살펴야한다.

흉신는 일주의 강약에 따라 달라지고 많이 변화한다.

일주가 뿌리가 있으면 상관이 있더라도 일간을 무시하지 않으나 그렇지 않으면 일간을 깔보고 무시해버리니 통제불능의 상태가 된다.

흉신이라는 그 자체는 일주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

상관은 표현인데, 상관이 통제불능상태가 되면 제멋대로 지껄이고 쓸데없는 말을 늘어놓는다.

흉신은 일간이 약하며 일간을 무시하기 때문이다.

길신은 상대를 공평하고 대하는데, 흉신은 상대를 불공평하게 대한다.

일주가 강하면 진정한 비판을 하지만 약하면 비판을 위한 비판을 한다.

셋째, 상대가 있나 없냐를 먼저보라. 상대육신을 보고 판단한다.

가령 상관이면 관이 있나 없나를 먼저 본다. 상관이란 정관을 상하게 한다.

상관의상대인 정관이 있는지 없는지를 살펴야한다.

상대가 있나 없나에 따라 흉신의 행동이 달라진다.

1. 상관운이 오는 경우에 차례대로 살핀다.

1) 正官을 剋傷한다. 인성이 있으면 2)번으로 넘어간다.

2) 比劫을 泄氣한다.

식신은 일간이 주는 대로 기를 발휘하는 것이라면 상관은 일주의 기를 盜氣한다. 주변의 조직이나 주변환경을 잘 활용한다.

일간도 설기한다. 상관은 일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설기한다.

설기를 심하게 하는 것을 도기한다.

일간 무리없이 설하나 상관은 일간의 도기작용을 한다.

인성이 있으면 3)번으로 넘어간다

3) 財星을 生한다.

재성은 창고역할인데 재성이 없으면 상관은 후일을 기약한다.
돈을 만드는 능력이 있는데 담을 재성이 없으면 일해봤자 돌아오는 것이 없다.

계미년에는 병화일주 경금일주는 상관년이 오면 병화가 있는지 없는지 맹수가 먹이를 노리는 것처럼 호시탐탐 노린다.

상관은 먹이거리인 관성이 있는지를 두리번두리번 살펴보다 관을 만나지 못하면 할 일이 없어져 버린 셈이다. 이때는 다른 일거리 찾아 나선다.

상관은 하이에나다. 상관은 먹이를 구해온다.

고기잡는 기술을 익혔다면 먹이 사냥이 가능해진다.

공격할 거리가 없거나 먹이가 없으면 방향을 바꾼다.

계미년은 정화나 병화가 있는지를 본다. 먹이거리가 없으면 쉬게된다.

상대의 오행이 있는지, 상대의 통변이 잇는지를 본다. 상대가 없으면 다른 일거리를 찾는다. 일간을 설기 시켜볼까. 그해서 뭐하려? 그 다음 돈도 벌어야 하는데, 야, 너 받을 주머니가 있나? 주머니란 공간이란 창고란 재성이다.

재성이 있으면 돈이 된다.

상관은 인성의 눈치를 보고 슬그머니 물러난다.

비겁이 있는 사람은 상관운이 바빠진다.

상관은 있는대로 가져가니 일간이 강할수록 상관운이 오면 바빠진다.

일간의 기도 빼내고 비겁의 기운도 빼내니 남의 것도 잘 활용하고 많은 일을 하게된다. 재성을 생하는 상관은 돈을 만드는 능력인데 재성은 돈을 담을 그릇이기에 재성이 없으면 일해서 남 좋은 일시킨다. 돈을 만드는 재주가 많다.

창고만 있다면 창고에 재물이 가득해진다.

상관은 욕심꾸러기다.

계산적이고 일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상관 맘대로 행동한다.


□ 정인의 통변

정인은 일간과 비겁을 생조한다.

정인은 받아들이는 능력이 있다.

정인이 없으면 가르쳐도 수용능력이 없으면 가르쳐도 소용없다.

비겁이 왕하면 가르쳐도 수용할 줄모르고 거부한다.

자기,자만심 때문에 누가 도우려, 가르치려해도 수용하지못한다.

비겁이 많은 일간에게 정인은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일간이 너무 강하면 윗사람과 부모말을 듣지 않는다.

수용을 해야 정통성을 이어갈 수 잇지만 수용하지못하면 정통성을 이어받지도 못하고 스승과 제자간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지 않는다.

정인이 없거나 문제가 있으면 상속, 계승, 전승능력이 약하다.

또한 인내력이 약해진다. 인성이 너무 많으면 생각은 많으나 행동력 실천력이 없고 우유부단해진다.

특히 인성이 식신을 파극시킬 때 그러하다.

상관상진, 파료상관격에 인성이 식신을 파극시킬 때 우유부단해진다.

앞뒤와 진퇴가 분명하다. 상관은 활동이나 일이고 정인은 공인된 증이니 상관패인되면 실력있는 전문가가 된다.

자격증이 있는 일을 하는 사람이 된다.

관은 자리이자 직책이다. 자리가 없으면 재야인사가 된다.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활동공간이다.

인성은 관성을 만나야 인성이 빛이 난다. 관성이 약하면 자리없어 불만이 생긴다. 직책이 없어 불만이 생긴다.

관성이 있고 인성이 없으면 자리는 있는 자격시비가 뒤따른다.

자격시비가 휘말린다. 받아들이는 능력, 정통성, 보수적이다.

정인은 수구적이고 보수적이고 상대인 상관은 진보적이고 개혁적이다.


□ 운을 볼 때

변화하는 것을 봐야한다. 합하는 것을 먼저본다.

그리고 충을 본다. 그 다음 생을 보고 설을 본다.

1.  合

일간은 변하지 않는다.

친한 사람이 나타난 것으로본다.

일간이외와 합하면 합된 것은 작용이 중지 된다.

쟁합은 라이벌이 생긴다.

천간과 달리 지지는 삼합도 있고 육합도 있는데, 육합은 개인적으로 변질되는 것이고 삼합은 고지와 합하는지 생지와 합하는지 왕지와 합하는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진다.

벌리다가 중지하는 수도 있고 하던 것을 마무리하느지를 삼합을 보고 판단할 수 있다.

일간은 합하지 않는다.

일간은 친한 사람이온것으로보나 일간이와와 합하면 그것은 일시 중시된다.

투합이나 쟁합되면 양다리 걸치고 우왕좌왕한다.

계미년의 경우 미토는 창고로 흩어진 것을 모으는 작용을 하는데 명조에 해가 있으면 발전의 시작을 구가하는데 미와 합되면 시작하고 준비하고 있던 것을 일시정지중지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잠시보류현상이 일어난다.

합한다. 투합이나 쟁합이 되며 망설인다. 지지합인 삼합에서 고지는 해묘 해수가 갑목을 생하다가 미가 들어오면 해미합으로 갑목이 하던일은 중지된다.


2. 沖(극)

극한다는 것은 통제하고 다스리고 책임진다는 의미가 돤다.

극하면 변화가 일어난다. 소유하고 점유하고 통제하고 간섭하려한다.

계수가 오면 무토는 계수를 간섭하고 통제하려한다.

현실적으로 참여하고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극한다는은 소유하려는 욕구가 생긴다.

계미년의 경우 경금일주면 기토인 인수가 계수인 현실을 극한다.

공부나 지식을 가지고 업그레이드한다.

식상은 생한다. 새롭게 생산하고 만든는 것이다.

상관은 바꾸고 고친다.

통제하고 정리하고 변화하게된다.

내걸로 만든다. 소유하려한다. 무토가 계수를 기토가극한다.

인수가 극한다. 현실이다. 인성 공부나 지식을 가지고 업그레이한다.


3. 生

상관은 고치고 바꾸고 수리하고 안되면 거부하고 포기하고 버린다.    

거부하다 안되면 일탈하거나 탈선한다. 식상, 새롭게 만들거나 바꾼다.

식신은 새롭게 만들고 상관은 옛것을 바꾼다.

거부한다. 반대한다. 식신은 생산하고 상관은 바꾸고 개혁한다.

거부하려다가 안되면 일탈한다. 통변마다 계수가 들어올 때 무슨 운 인가를 본다. 받아들인다. 안정적이다. 계획대로하는 것이 인성이고 계획을 세워 클려고 한다. 재가 학생을 키울려고 한다.

안정을 시키려고 한다.

극을 받는다는 것은 통제받고 보호받는다.

정리해주는 것이 관성작용이다. 식신은 창조하고 만드는 것이고 상관은 바꾸고 변형하려한다.

乙(일간)----庚:癸<상관> 직장운/관,직장을 바꾸려한다. 오래는 관이 생하는 운으로 바꾸고 고치고
庚<일간)----甲:癸<인수> 재운은 /뭔가 계획을 세워서 키울려한다.

인성은 안정적으로 받아들이고 계획을 세우고 안전적인 조치를 취한다.

상관은 바꾸고 고치려하니 불안정적 행동을 취한다.

생을 받는 운은 안정적이다.

극을 받는 것은 통제를 받는가하는가 하면 달리생각하면 보호받는것도 된다.

Comments

통변의 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