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일주 강약판단 방법 정리

사주 일주 강약판단 방법 정리

G 이위화 1 10,479 2022.01.29 17:03

(매우 중요하니 반드시 암기할 것.)

1. 수數에 의한 일주강약
비겁,인성의 개수(A)를 세고, 식상,재,관의 개수(B)를 센다.
A가 B보다 많으면 일주는 강하고, B가 A보다 많으면 일주는 약하다.

2. 절기節氣에 의한 일주강약
( 오행강약도 모두 같다. )

월령(月令)이 비겁이거나 인성이면 즉, 득령하였으면 일주편이 더
강하다. 반대로 실령하였으면 약하다.
월령의 힘 : 다른지지 2~3개의 힘과 같다.

3. 통근通根에 의한 일주강약
( 오행강약도 모두 같다. )

천간에 있는 글자는 지지에 뿌리가 있으면 강하고 뿌리가 없으면
약하다. 뿌리가 없는 천간의 힘 : 뿌리가 있는 천간의 1/3의 힘.

4. 원근遠近에 의한 일주강약
( 오행강약도 모두 같다. )

비겁,인성이 일주로부터 멀면 도움이 약하고, 가까이 있으면 도움이 크다.

위 4가지의 원리를 종합하여 일주강약과 오행강약을 판단한다.


일주강약판단의 구분

고서에서는 애매하게 신왕,신약으로 간단히 나누었으나 이렇게 해서는 용신을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가장 신약한 경우를 0, 가장 신왕한 경우를 100이라 한다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태약(太弱) 0 ~ 24%
신약(身弱) 25 ~ 44%
중화(中和) 45 ~ 54%
신왕(身旺) 55 ~ 74%
태왕(太旺) 75 ~ 100%

위 강약구분에 따라 용신찾는 법이 다르니 세밀하게 판단해야 한다.


(강약판단의 예)

상관 일주 비견 정인

庚 己 己 丙

午 未 亥 戌

편인 비견 정재 겁재


연간 丙火 : 원래 목이 없고 亥月은 절지이니 약하다. 그러나 지지술토에 정화가 암장되어 통근한다. 또 해수중에 갑목이 있어 병화를 암중으로 생조한다. 약하지만 뿌리가 있다.

월간 己土 : 亥水위에 앉았고 또 亥月에는 토가 약하다. 그러나 화토가 많아 득세하였다.

시간 庚金 : 午火위에 앉았고 해월이니 약하다. 그러나 토가 많아 생을 받는다.

연지 戌土 : 천간의 병화가 생조하고 토가 투출하였으니 강하다.

월지 亥水 : 월령이니 본래 힘이 강하나 경금이 時干에 있어 별 도움을 받지 못하고 주위에 화토가 가득하니 세력을 잃었다.

일지 未土 : 천간에 화토가 투출하여 힘이 강하다.

시지 午火 : 木이 없고 亥月이라 약하다. 또 토가 많아 설기가 되니 약화된다.


오행강약판단.

木 : 사주에 목이 없으나 해수중 갑목이 있고 미토중 을목이 암장해 있다.
해미합목으로 미약하게 목기운이 나온다. 운로천간으로 목이 온다면 암장된 목을 쓸 수 있다.

火 : 해월이라 약하기는 하나 힘은 있다.

土 : 해월에 절기상 약하기는 하나 화토가 많아 득세하여 강하다.

金 : 하나 있는 경금이 오화위에 앉아 약하다.

水 : 월령이니 원래 힘이 있다. 단, 화토가 많아 실세하여 목이 없어 극을 받는다.


일주강약판단.

화토의 숫자는 6개/8개로서 강하다. 그러나 실령하였으니 좀 약화된다.
뿌리가 튼튼하고 위치상으로도 화토가 가까이 있으니 힘이 강화된다.
일주강약최종판단 : 신왕(身旺)


용신판단.

토가 많아 목으로 소토해야 한다. 사주에 목이 없으나 해수,미토중에 암장되어 있고
해미합목으로 목기운이 나오니 쓸 수 있다. 목용신. 木을 도와야 하니 水가 희신이다.


반드시 위와 같이 하나하나 정확하게 판단해야 강약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용신도 정확히 잡을 수 있다.

위와 같이 해야 정확하게 강약판단을 할 수 있으나 너무 번거로우므로 간편한 방법을 소개한다.

특히 진술축미월인 경우와 지지에 토가 많은 경우가 강약판단이 어렵다.


수(數)로만 강약을 판단하는 간편법

1. 인성과 비겁(일간포함)의 갯수를 센다. 이 때 월령이 비겁,인성이면 2개로 본다.
2. 천간에 인성,비겁이 있는데 지지에 뿌리가 미약하면 0.5개 없으면 0.3개로 본다.

월령은 2개로 보니 사주팔자의 갯수가 9개가 되었다.
9개중에 일주편(비겁,인성)이 몇개인가에 따라 강약을 판단할 수 있다.

예)

甲 乙 己 甲
申 亥 巳 辰


비겁이 일간포함하여 3개이고 인성이 1개 총4개이다.
그런데 시간의 갑목은 여름철이고 절지위에 앉아 있으니 약하여 0.5로 본다.
결론적으로 9개중에 3.5개이니 신약이다.

Comments

일간의 기운이 왕약함에따라서도 병약의 성쇠에따라서도 용희신 또는 기신의 강약에따라서도 달리하는 경우의 수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비추
2673 사주 기신대운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댓글+1 G 미리 06.17 19 0 0
2672 사주 (사주) 대한민국에서 식상(식신, 상관)이 필요한 이유 댓글+1 G 소비 06.17 24 0 0
2671 사주 사주 관법은 다양하게 갖추는것이 유리합니다 댓글+1 G 길조 06.16 15 0 0
2670 사주 나는 상관, 상관격 사주가 좋다 댓글+1 G 길조 06.16 33 0 0
2669 미스터리 하나님, 주님 백년 천년 외친다 해도... 댓글+1 G 길조 06.16 16 0 0
2668 사주 인연을 맺으면 안되는 사주 댓글+1 G 올빛 06.15 47 0 0
2667 사주 용신대운이 되고 나에게 일어난 일 댓글+1 G 옴뇸 06.15 31 1 0
2666 사주 (사주팔자) 겁재는 꼭 필요한 십성입니다 댓글+1 G 릿카 06.14 42 2 0
2665 사주 (사주 인문학) 시공간을 초월하는 방법 댓글+2 G 릿카 06.13 38 2 0
2664 사주 사주 월간과 시간이 의미에 대해서 댓글+1 G 누리 06.13 37 0 0
2663 사주 사주명리학 편인에 대한 고찰: 역경과 고독을 이겨내는 힘 댓글+1 G 소피나 06.12 60 0 0
2662 사주 사주명리학과 격국 댓글+1 G 북풍 06.12 25 0 0
2661 사주 강해보이고 싶어하는 칠살과 이를 다스리는 식신 댓글+1 G 경공 06.11 42 0 0
2660 사주 (사주) 자수는 인목을 살리는데 묘목은 살리지 못한다 왜일까? 알아보자 댓글+1 G 이안데 06.11 40 0 0
2659 사주 오행 금(金)에 대해서 댓글+1 G 설화 06.10 64 1 0